티스토리 뷰

오래 사용한 가구를 버려야 하는 상황에 놓인 나.

보통 가구는 이사하는 경우에 이삿짐 센터가 짐을 내려서 경비실 앞에 가져다 놓으면 경비실에 가서 비용을 계산 하는 방식으로 버린다.

그런데 이사하는 경우가 아닌 상태로 대형 가구나 가전을 버려야 하는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 할까?

다른 지역은 모르겠는데 남양주시는 대형폐기물 예약 수거 제도가 있다.

가전은 무료, 가구는 유료.

집 앞까지 내놓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경비실까지 힘겹게 운반하지 않아도 되니 그나마 다행이라고 할 수 있다.

전화로도 예약할 수 있고 인터넷으로도 예약 가능하다.

인터넷 예약 : http://cleancity.nyj.go.kr/

전화 예약 : 1588 - 4077

그리고 대형 폐가전(가구 아님)만 무상 수거하는 서비스도 있다. 이건 남양주시에서 하는게 아닌것 같다. 폐가전 취급하는 업체에서 하는 듯.

가구 및 가전을 동시에 수거 신청하려고 남양주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대형폐기물 통합관리센터를 이용해야 한다.

가구는 비용이 발생하고 가전은 부품등의 값이 있어서인지 무상으로 수거해 간다.


난 인터넷으로 신청했다.

남양주시 대형폐기물 통합관리센터 에 접속했다.

접속했을때 화면

오른쪽 아래부분에 보면 예약배출 신청하는 부분이 있다.

화목토 예약 배출 신청이 있고 월수금 정기배출 신청이 있다.

둘의 차이는 화목토 예약배출 신청은 신청 후 집 앞 문에만 배출해 놓으면 알아서 수거해 가는 시스템이고 월수금 정기배출 신청은 신청 후 아파트 분리수거 하는 장소 (예를 들면 경비초소 앞) 까지 배출해 놓아야 수거해 가는 시스템이다.

대형 폐기물 같은 경우에는 분리수거 하는 장소까지 직접 운반하기가 어려우므로 화목토 예약 배출을 이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예약배출 신청을 클릭

그러면 이용약관, 개인정보수집 및 이용, 제 3자에 개인정보 제공 등에 관해 동의해야 한다.

내 정보를 이용해서 수거하러 오는 것이므로 동의 체크.

그 아랫쪽으로 기본정보를 입력하는 란이 있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수거하러 오기 때문에 잘 입력해야 한다. 그리고 간혹 배출 서비스 변경 및 취소할 때의 정보로도 사용되므로 잘 입력한다.

기본정보를 입력하고 나면 배출 품목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이 있다.

품목 선택 클릭.

품목을 선택할 수 있는 팝업창이 뜬다.

그러면 내가 배출할 품목을 선택하면 된다.


가전 같은 경우에는 무상 수거이므로 비슷한 유형의 제품을 선택하면 된다.

가구는 유상(돈을 내야 함) 수거이므로 제대로 선택해야 한다. 품목이 너무 차이가 나면 수거가 안 될 수도 있다.

뭐든 정직하게..

가구 같은 경우에는 폭 크기도 알아야 한다. 나도 줄자로 열심히 재어가며 체크했다. 폭에 따라 가격 차이가 나므로 제대로 잘 재어야 한다.

내가 배출할 품목들을 잘 체크한 다음에 아랫쪽에 확인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다시 한번 확인 메시지가 뜬다.

선택한 품목을 등록할 건지 물어본다. 그러면 다시 확인.

확인 버튼을 누르면 내가 선택한 품목들이 뜨고 각 품목들에 대한 금액도 뜬다.

품목 추가한 다음에는 희망 배출일과 배출 장소를 선택해야 한다.

희망 배출일..

화목토 예약 배출이므로 화목토 중에서 원하는 날짜를 선택하면 된다.


그런 다음 배출장소를 선택.

난 엘리베이터가 있는 아파트이므로 엘리베이터 있는 공동주택(현관앞)을 선택했다.

엘리베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1층 입구까지 내 놓아야 한다.

이럴 땐 역시 아파트가 최고.. ㅡㅡ;;;;;

배출 장소까시 선택하고 나면 이제 예약 등록 버튼을 누르면 된다.

예약등록 버튼을 누르면 등록할 건지 다시 한번 묻는 팝업창이 뜬다.

그럼 확인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총 계산해야 하는 금액과 신용카드로 결제할 것인지 계좌이체로 결제할 것인지를 선택해야 한다.

난 신용카드로 결제할 것이므로 신용카드 결제 버튼을 눌렀다.

신용카드 결제에 관해 동의하라는 창이 뜬다.

동의한 후 다음을 누르면 신용카드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이 뜬다.

난 국민카드로 결제할 것이므로 국민카드 선택..

카드 결제하는 과정은 각 카드사마다 다르므로 결제 진행되는 화면은 생략한다.


결제가 다 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

개인 고유의 배출 번호가 나온다.

이전에는 출력해서 가구나 가전에 붙이는 방식을 사용했었다고 하는데 종이가 분실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이제는 매직으로 가구 및 가전에 배출번호를 적으면 된다고 한다.

출력할 일 없으니 그건 좋네~

 


이제 배출 예약일에 해야 할 일..

1. 가구 및 가전에 배출 번호를 매직으로 적는다.

2. 오전 8시까지 배출예약 장소에 가구 및 가전을 내놓는다. 나는 아파트 현관문으로 지정해서 현관문 앞에 내 놓았다.

보통 수거해 가시는 기사분께서 오전 8시에서 12시 사이에 방문하신다고 한다.

내 놓고 집에서 다른 일 하고 있었는데 8시 30분 정도 되니 가구 수거해 가는 소리가 들렸다.

조금 늦게 내 놓았으면 기사님 전화올 뻔... 전화 없이 그냥 가시나? ㅡㅡ;;;;

아무튼... 남양주 시민일 경우 대형 폐가전 및 가구를 버릴때는 대형폐기물 예약 수거를 이용하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아파트 경비실 보다 금액이 더 현실적인 듯.. ^^;;;;;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